안녕하세요. 오늘은 제가 직접 경험한 학점은행제 1학기 공부 현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.
처음 시작할 때는 막연히 "온라인 강의니까 편하겠지" 했는데, 실제로는 생각보다 챙겨야 할 것들이 많더라고요.
앞으로 학점은행제를 고민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1. 온라인 강의 수강 현실
학점은행제 강의는 정해진 기간 안에 출석(수강)을 채워야만 합니다.
보통 주차별로 1~2강의가 열리고, 출석 인정 기간이 지나면 수강 체크가 되지 않아요.
수강하는 곳에 따라 강의를 잘 듣고 있는지 체크하는 부분이 있습니다.(퀴즈를 풀거나 클릭을 해야하는 경우 발생)
강의를 그냥 켜 놓기 보다는 시험이나 미래를 위해 잘 들어두면 유익한 내용이 많았습니다.
👉 저는 처음에 "한 번에 몰아서 들어도 되겠지"라고 생각했다가 출석 인정일을 놓칠 뻔한 일이 있었습니다.
또한, 2주 분량을 한꺼번에 들었다가 뇌 용량의 한계로 힘들기도 했습니다. (미루기 금지!)
정해진 주차 안에 꼭 출석을 해야 한다는 점, 반드시 기억하셔야 합니다!
2. 과제와 시험, 난이도는?
- 중간·기말시험: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객관식+주관식 혼합
- 과제 제출: 분량은 과목마다 다르지만, 보통 리포트 형식
솔직히 난이도가 아주 높은 편은 아니었으나 과목이나 수강하는 곳에 따라 다릅니다.
다만 마감 기한이 겹치는 시기(중간·기말)에는 시간이 부족해 스트레스를 받기도 했습니다.
📌 팁: 과제는 미리 주제를 확인하고, 자료조사를 조금씩 해두면 훨씬 수월합니다.
3. 시간 관리 & 생활과 병행
저는 주부로서 가사·육아와 병행하며 학점은행제를 진행했어요.
처음엔 "집에서 온라인 강의니까 편하겠지" 싶었는데, 실제로는 시간 관리가 가장 큰 도전이었습니다.
- 아이(초등학생)가 등교하면 강의를 듣기
- 저녁 늦게 가족들이 자고 난 뒤 과제 작성
- 주말에는 필요시 몰아서 공부
이런 식으로 틈새 시간을 활용하지 않으면 학기를 끝내기가 쉽지 않더라고요.
4. 실제로 느낀 점과 팁
- 온라인이라 접근성은 좋지만, 꾸준함이 없으면 학점을 놓치기 쉽다
- 행정절차(학습자 등록, 서류)보다 공부 자체의 시간 관리가 더 중요하다
- 미리 계획표를 만들어 두면 훨씬 안정적으로 수강할 수 있다
👉 결론적으로, 학점은행제는 자기 관리가 핵심입니다.
"편하다"는 말보다는 "스스로 관리해야 완주할 수 있다"는 말이 더 맞는 것 같아요.
✨ 마무리하며
저도 이제 막 1학기를 마친 상태라 아직 배워가는 중입니다.
하지만 분명한 건, 생각보다 현실적으로 챙겨야 할 부분이 많다는 점이에요.
👉 다음 글에서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자격증·취업으로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지 고민을 나눠보려고 합니다.
저처럼 학위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"취득 이후, 진로는 어떻게 될까?"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<함께 읽으면 좋은 글>
학점은행제 학습자 등록, 시작 전 꼭 알아야 할 행정 절차 (실제 경험 후기)
학점은행제 학습자 등록, 시작 전 꼭 알아야 할 행정 절차 (실제 경험 후기)
안녕하세요, 스터디라운지입니다 😊학점은행제를 시작하려고 마음먹으면 가장 먼저 거쳐야 하는 게 바로 학습자 등록입니다.저도 처음에는 "그냥 수업 신청만 하면 되겠지?"라고 생각했는데,
study.miso-rich.co.kr
학점은행제 시작 전 꼭 알아야 할 3가지 (고민하시는 분들! 필수 가이드)
학점은행제 시작 전 꼭 알아야 할 3가지 (고민하시는 분들! 필수 가이드)
안녕하세요, 스터디라운지입니다. 😊저번 글에서는 제가 학점은행제를 시작하게 된 개인적인 계기와 도전기를 나눴는데요.이번 글에서는 막 학점은행제를 알아보시는 분들을 위해, 시작 전에
study.miso-rich.co.kr
'엄마의 공부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엄마도 공부하는 방학, 국제자격검정원 논술교육지도사 과정 도전기 (1) | 2025.09.01 |
---|---|
학점은행제, 자격증 취득과 취업으로 어떻게 연결될까?(현실 고민) (4) | 2025.08.30 |
학점은행제 학습자 등록, 시작 전 꼭 알아야 할 행정 절차 (실제 경험 후기) (2) | 2025.08.26 |
학점은행제 시작 전 꼭 알아야 할 3가지 (고민하시는 분들! 필수 가이드) (0) | 2025.08.25 |
학점은행제 공부, 왜 시작했을까? 주부의 도전기 (5) | 2025.08.24 |